들어가며V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시맨틱 스페이싱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아틀라시안 디자인 시스템의 시맨틱 스페이싱이 참고하기 좋아보여서 그걸 레퍼런스로 삼았지만, 이게 최선일까?라는 생각을 계속했다.확장성도 없고 단순하지도 않다.당시에는 문제가 있다는걸 알면서도 시간적 여유가 없어 바로 진행했지만, 이번에 조금 여유가 생겨 그 부분을 검토해보려 한다. 우선은 당시에 사용했던 스페이싱을 검토해보고,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확인한다. 이후 아티클 등을 통해 어떤 점을 개선할 수 있을지 보고. 이후 다음 프로젝트에서 적용해볼 스페이싱의 청사진을 만들어보려 한다. 문제: 너무 작고 좁다primitivesemanticnamepxnamevaluespacing-22pxcontainer-center_gapspacing..
올해 초 퍼블리싱을 공부할 때 Divize에서 컴포넌트를 많이 따라 만들었다. 그중 막혔던 부분들이나 잘 몰랐던 부분들을 메모해 놨었는데, 다시 읽어보고자 블로그에 업로드한다. Tweet Card: 독립적인 콘텐츠를 표현. 요소를 사용해 설명을 붙일 수 있다.a의 target 속성은 링크된 문서를 클릭했을 때 문서가 열릴 위치를 명시_blank 링크된 문서를 새로운 윈도우나 탭에서 오픈_self 링크된 문서를 링크가 위치한 현재 프레임에서 오픈_parent 링크된 문서를 현재 프레임의 부모 프레임에서 오픈_top 링크된 문서를 현재 윈도우 전체에서 오픈프레임 이름 링크된 문서를 명시된 프레임에서 오픈role=""ARIA 역할을 포함ARIA(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
회사에서 처음으로 퍼블리싱을 한 프로젝트가 끝났다. 7월에 진행한 프로젝트이니 시간이 좀 지났지만, 업무 도중에 메모했던 것들과 작업 내용들을 다시 보면서 회고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짧은 기획과 디자인, 그리고 퍼블리싱을 진행하였는데 그중에서 퍼블리싱에만 집중해봤다. KPT 템플릿에 커뮤니케이션, HTML, CSS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봤다. 1️⃣ KPT 회고피그잼에 포스트잇을 붙여가며 분류했다.Keep(CMN) 할 일 정리하면서 작업 진행(HTML) 접근성 고려한 마크업(CSS)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variables 사용Problem(CMN) 퍼블리싱 범위에 대한 혼란(HTML)Figma 'AutoHTML'을 사용한 내보내기: 필요하지 않은 부분까지 로 작성되어 수정할 부분이 많아진다.명확하..